위스키(Whisky) / 생산지에 따른 분류
위스키는 생산되는 곳에 따라 크게 스카치 위스키, 아이리시 위스키, 아메리칸 위스키, 캐나디안 위스키로 분류된다. 앞의 4생산지가 4대 위스키 생산지로 알려져 있다. 넷 중에도 스키치 위스키와 아메리칸 위스키의 인지도와 생산량이 빅2라고 볼 수 있다. 최근에 급상승중인 일본의 위스키인 재패니스 위스키를 추가한 5대 위스키 생산지로 뽑는 경우도 있다.
1. 스카치 위스키 (Scotch Whisky)
알려진 위스키의 대부분이 스카치 위스키에 속하는 경우가 많다. 이름 그대로 스코틀랜드에서만 생산되는 위스키다. 법적으로 3년 이상 숙성을 거쳐야하고, 첨가물로는 물과 색소만 허용된다고 한다.
몰트(malt) 위스키 - 맥아만을 원료로 해서 만든 위스키
블렌디드 몰트(blended malt) 위스키 - 크레인 위스키를 넣지 않고 여러 증류소의 몰트 위스키들만을 블렌딩 한 위스키
싱글 몰트(single malt) 위스키 - 단일 증류소의 단식 증류기를 사용하여 만든 몰트 위스키만으로 생산된 위스키
그레인(grain) 위스키 - 맥아를 제외한 곡물로 만든 위스키. 맥아만 사용해서 만든 위스키더라도 연속식 증류기를 사용한 경우와 같이 몰트 위스키의 규정을 지키지 않은 위스키도 이에 속한다.
블렌디드(blended) 위스키 - 몰트 위스키와 그레인 위스키를 혼합한 위스키. 시중에서 가장 많이 볼 수 있다.
2. 아이리시 위스키 (Irish whiskey)
원조격인 위스키. 아일랜드에서 만들어지는 위스키.
3. 아메리칸 위스키(American Whiskey)
버번 위스키 - 1) 미국에서 제조 2) 속을 불에 태운 새 오크통만 이용하여 숙성 3) 매쉬빌에서 옥수수 함량이 51% 이상 4) 증류 도수는 80%이하 5) 통입 도수는 62.5%이하 6) 병입 도수는 40%이상 7) 물 외의 어떤 첨가물 사용 불가 7가지 조건을 지켜 생산되는 위스키가 버번 위스키이다.콘 위스키 - 메쉬빌에서 옥수수 함량이 80%이상, 2년 이상 숙성하면 '스트레이트'를 붙일 수 있다.라이 위스키 - 매쉬빌에서 라이 함량이 51%이상, 2년 이상 숙성하면 '스트레이트'를 붙일 수 있다.
몰트 위스키 - 스카치 위스키와 달리 매쉬빌에서 몰트 함량이 51% 이상되면 몰트 위스키라 표기 할 수 있다. 2년 이상 숙성하면 '스트레이트'를 붙일 수 있다.
테네시 위스키 : 버번 위스키와 차이점은 테네시에서 제조해야 한다는 점과 숙성 전 주정을 숯에 여과시키는 공법을 거쳐야 한다는 점이다. 나머지 제조 방식은 버번 위스키와 동일하다.
4. 캐나디안 위스키(Canadian Whiskey)
미국과 미슷한 성향을 가지고 있다. 호밀(라이) 위스키가 비중이 높은 편이다.
5. 재패니스 위스키(Japanese Whisky)
일본에서 위스키는 오랫동안 대중적인 주류였으며 부담 적은 저가 브랜드뿐 아니라 고숙성의 고가 브랜드 등 다양한 위스키가 많다. 일본 현지의 대형마트에서 구입하면 알코올 양으로 비교했을 때 스탠다드급 블렌디드 위스키의 경우 일본에서 참이슬을 구입하는 것이나 비슷한 가격인 경우가 있다.
*나무위키 참조
'지식&궁금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유아기 자녀 발달단계별 육아 팁 (언어/인지/운동 발달 촉진) (0) | 2024.03.20 |
---|---|
에드센스 수익 발생 과정 (0) | 2024.02.06 |
이직확인서 조회 하는 방법 (실업급여에 꼭 필요) (0) | 2024.02.03 |
[맥주] 맥주의 구분 (0) | 2017.11.22 |
[맥주] 에일 맥주의 종류 (0) | 2017.11.22 |